천마
천마는
자연속에서
2007. 4. 9. 23:45
![]() |
천마 |
수자해좃 | |
![]() |
Gastrodia elata Blume |
![]() |
난초과 |
![]() |
オニノヤガラ |
![]() |
Tall Gastrodia |
![]() | |||||||||||||||||||||||||
![]() | |||||||||||||||||||||||||
![]() |
| ||||||||||||||||||||||||
![]() |
| ||||||||||||||||||||||||
![]() | |||||||||||||||||||||||||
잎은 보통 없고 인편엽(鱗片葉)은 성기게 나며 하부의 것은 짧은 초를 형성한다. 초상엽은 막질이고 길이 1-2㎝로서 세맥이 있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둘러싼다. | |||||||||||||||||||||||||
![]() | |||||||||||||||||||||||||
삭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12-15mm로서 끝에 화피가 있고 5mm 내외의 대가 있다. | |||||||||||||||||||||||||
![]() | |||||||||||||||||||||||||
꽃은 6-7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정생하는 총상화서는 길이 10-30cm로서 많은 꽃이 달리고 포는 피침형 또는 산상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7-12mm, 나비 2mm로서 막질이며 둔두이고 잔맥이 있다. 외화피 3개는 합쳐져서 표면이 부풀기 때문에 찌그러진 단지처럼 보이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안쪽에 2개의 내화피가 달리므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진것처럼 보인다. 순판은 길이 1cm정도로서 난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의 돌기로 화통부의 앞쪽 내부에 달리므로 화피열편 가장자리에 약간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암술은 2개의 날개가 있으며 밑부분 앞쪽에 암술머리가 있고 화분괴(花粉塊)에 대가 없다. 자방은 하위이다. | |||||||||||||||||||||||||
![]() | |||||||||||||||||||||||||
줄기는 높이 60~100cm로서 원주형이고 곧추서며 털이 없고 황갈색이다. | |||||||||||||||||||||||||
![]() | |||||||||||||||||||||||||
괴경은 비대하며 장타원형이고 가로로 뻗으며 길이 10-18㎝, 지름 3.5㎝로서 옆으로 뚜렷하지 않은 테가 있다. 근경을 천마라 한다. | |||||||||||||||||||||||||
![]() | |||||||||||||||||||||||||
한국 | |||||||||||||||||||||||||
![]() | |||||||||||||||||||||||||
다년초. | |||||||||||||||||||||||||
![]() | |||||||||||||||||||||||||
높이 60-100cm이다. | |||||||||||||||||||||||||
![]() | |
![]() | |
▶깊은 산속 낙엽이 쌓여 부식질이 많은 계곡의 숲속에서 자란다.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며 해발 400-800m의 활엽수림이 있는 반음지이고 연평균온도 10-15℃, 평균습도 70%정도인 곳이 좋다. 토질은 모래가 섞인 양토로서 부식질이 많을수록 좋고 토심은 깊고 배수가 잘되는 곳을 선정하여야 한다. 경사도 30도이내의 경사진 남향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유기물함량은 5%이상, 적정산도는 pH5.5, 유효이산 함량은 낮고, 칼슘, 마그네슘 등 미량요소가 약간 들어있으며 토양수분은 40%정도 함유한 지역이 재배적지로 판단되나 부적지에서도 인위적으로 철저한 관리를 하면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이기도 하다. | |
![]() | |
양생,중생 | |
![]() | |
비옥 | |
![]() | |
종자로 번식한다. 뽕나무 버섯과 공생, 즉 뽕나무버섯의 균사(菌絲)에서 천마 종자가 발아한다. | |
![]() | |
1)재배기술 ①번식: 천마는 지상경과 지하괴근으로 나누어 생장하는데 지상경은 유성번식을 하기 위하여 지하괴근이 커지면 5-6월경에 60-120㎝정도 자란다. 지하 괴근에서 자구생성이 이루어지며 괴근에 있는 양분으로 1-4㎜정도 자란 후 가을에 떨어져 균사와 결합되어 자란다. ②인공재배법 ▶원목벌채: 벌채시기는 낙엽이 질 무렵인 10월 상순부터 그 다음해 봄, 나무에 물이 오르기 전인 3월 중순까지가 적기이다. ▶토막치기와 건조: 벌채와 동시에 60㎝로 절단하여 정자 모양으로 쌓아서 건조시킨다.건조시간은 대략 40-60일 정도 건조시키면 원목의 수분함량이 38-42%로 접종하기에 알맞다. ▶종균접종: 뽕나무버섯균사생장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20-25℃이다. 버섯균은 섬유방향으로 잘 자라므로 구멍간의 거리는 15-20㎝띄워도 좋으나 열간은 3-6㎝좁아야 한다.종균은 원목 1㎥당 6-8파운드가 필요하다. ▶매몰지 환경: 기후는 15-20℃로 서늘하고 습윤한 곳이 알맞으나 천마를 재배하고자 할 때는 5%정도의 경사지로서 배수가 양호한 사양토가 좋다.부식함량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매몰: 토양을 평편하게 정지한 다음 15㎝깊이로 구덩이를 파고 종균이 접종된 원목을 12-15㎝간격으로 놓고 원목굵기의 1/3은 사양토로 1/3은 완숙된 부식을 넣고 나머지 1/3은 다시 사양토로 덮는다. ▶균사배양: 토양내의 온도 20℃내외로 유지하고 배수가 양호하게 한다. ▶자구접종: 원목 매몰1년후 균사속 바로 위에 천마 자구를 접종한다. 시기는 휴면기인 늦가을이나 이른봄에 접종한다. 2)관리: 포장관리로 장마를 대비하여 배수구를 정비하고 가뭄시 수시 관수하며, 가을에 보온하고 반음지가 아닌 포장은 5-9월까지 차광망을 설치하여 반그늘을 만들어 준다. 3)수확: 수확시기는 천마의 생육이 정지된 10월 하순-11월 중순과 3월 중순-4월 중순에 수확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을에 수확한 것보다 봄에 수확한 것은 자가소화 현상이 일어나 중량이 감소되고 품질이 다소 저하된다. | |
![]() | |
8월,9월 | |
![]() | |
▶根莖(근경)은 天麻(천마), 莖葉(경엽)은 天麻莖葉(천마경엽), 과실은 天麻子(천마자)이며 약용한다. ⑴天麻(천마) ①가을에서 이듬해 봄 사이에 채취하며 겨울에 채취한 것을 冬麻(동마)라 하며 품질이 우수하다. ②성분 : Gaxtrodin, p-hydroxybenzylalcohol, β-sitosterol, daucosterol, 구연산 및 그 mehtylester, palmitin 酸(산), 蔗糖(자당), 3,4-dihydroxydibenzylether, 4-ehtoxymethyl phenol 등을 함유하고 있다. ③약효 : 强壯(강장), 鎭痙(진경), 鎭靜(진정)의 高貴藥(고귀약)으로서 熄風(식풍) 定驚(정경)의 효능이 있다. 眩暈眼黑(현운안흑), 頭風頭痛(두풍두통-돌발적인 두통), 사지마비, 반신불수, 語言障碍(어언장애), 류머티성 관절염, 소아의 驚癎動風(경간동풍)의 치료에 쓰인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이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⑵天麻莖葉(천마경엽) - 약효 :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면 熱毒(열독)에 의한 癰腫(옹종) 치유에 쓰인다. ⑶天麻子(천마자) - 약효 : 과실을 따서 달여 복용하면 熱氣(열기)를 제거하고 定風(정풍), 補虛(보허)한다. (효능은 천마와 같다) | |
![]() | |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되어야한다. | |
![]() | |
▶천천마 ▶귀천마 | |
![]() |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자료출처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