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민간요법

60세 이상 30% '근감소증'..골절·치매 위험 부른다

자연속에서 2025. 1. 6. 00:59

60세 이상 30% '근감소증'..골절·치매 위험 부른다

노주섭 



부산 온종합병원 노년내과클리닉 은명 소장(왼쪽)이 나이들어 찾아올 수 있는 근감소증 예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온종합병원 제공
부산 온종합병원 노년내과클리닉 은명 소장(왼쪽)이 나이들어 찾아올 수 있는 근감소증 예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온종합병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새해에는 건강의 핵심 근육을 비타민D로 지키세요."

 

근감소증(sarcopenia)은 근육의 양, 근력, 근기능이 모두 감소하는 질환이다. 아시아 근감소증 진단기준에 따르면 보행속도가 0.8m/초 미만이거나 악력(쥐는 힘)이 남성 26kg, 여성 18kg 미만일 때 근감소증을 의심할 수 있다. 나이 들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지만 만성 질환을 부를 수 있으므로 건강 장수를 위해서 암만큼이나 더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부산 온종합병원 노년내과클리닉 은명 소장은 5일 "근감소증은 활동장애 및 당뇨병, 대사질환 등 노인성 질환을 유발하여 건강한 노년생활을 위협하고 있다"면서 "특히 노인들은 체내 대사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만성질환에 더욱 취약하므로 근감소증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 예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2025년 기준 국내 근감소증 환자 수는 약 146만 명으로 추정된다. 60세 이상 노인인구의 30% 정도가 근감소증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보다는 조금 나은 사정이지만, 미국도 마찬가지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65세 이상 성인의 10%, 80세 이상 성인의 40%가 근감소증을 겪는다고 보고했다.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2016년 근감소증을 질병으로 분류해 질병코드를 부여했다. 우리나라도 2021년에 정식 질병으로 분류했다. 현재까지 직접적인 치료제는 없으나, 적절한 영양 섭취와 운동을 통한 예방이 가능하다.

 

근감소증이 위험한 이유는 노화 자체를 가속화할 뿐 아니라 다양한 합병증을 야기한다는 데 있다. 근육은 인체 골격을 지탱하는 1차적 요소여서 근육이 줄어들면 낙상과 골절 위험이 높아지기 마련이다. 노인층에서는 낙상 후 장기 입원이 불가피해지고, 상황에 따라서는 사망률도 높아질 수 있다.

 

근육은 혈당 조절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근육량 감소로 인해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육이 적절한 수준을 유지해야 혈액 내 포도당이 안정적으로 소비되고 인슐린 저항성도 악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혈류 순환이나 대사기능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면 뇌로 공급되는 혈류량도 감소해 치매 등 인지기능 장애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점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된다.

 

다행히 근감소증은 꾸준한 운동과 균형 잡힌 영양섭취, 비타민 D 보충 등으로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이 혈중 비타민 D의 적정 농도를 유지하면 노화로 인한 근감소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Life Sciences에 발표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국립보건연구원 내분비ㆍ신장질환연구과 연구팀은 노인에서 근감소증을 예방ㆍ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타민 D’에 초점을 맞춰, 근육호르몬(마이오카인)과 비타민 D 간 상호작용을 확인했다. 운동때 근육에서 분비되는 마이오카인(myokine)은 근기능뿐 아니라 신경계ㆍ간ㆍ지방조직 등의 대사 조절과 염증 완화에도 기여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히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기능과 근육 재생에 이로운 마이오카인 “아펠린(Apelin)”과 그 수용체(수용체 단백질)의 발현이 급격히 줄어드는 양상을 관찰했다. 하지만 실험동물(쥐)에 고용량 비타민 D(20,000IU/㎏)를 투여하자 아펠린의 혈중 농도와 수용체 발현이 증가해 근기능이 개선되는 사실이 확인됐다.

 

부산 온종합병원 노년내과클리닉 은명 소장은 “국립보건연구원의 발표는 운동 이외에도 비타민 D를 통해 근감소증을 예방하는 기전을 직접적으로 입증한 의미 있는 연구”라며 “평소 비타민 D가 부족해지지 않도록 꾸준히 섭취하면 건강수명(health span) 연장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구인에 비해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비타민 D 결핍률이 높다. 특히 일조량이 줄어드는 계절이나 실내 활동 시간이 긴 경우가 많은 노인층에서는 더욱 심각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실제로 2017년 8만6,285명이었던 비타민 D 결핍 환자가 2021년에는 24만7,077명으로 급증했다.

 

노인노쇠코호트 연구결과 역시 이를 뒷받침하는데, 70세 이상 노인의 21%만이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30ng/㎖ 이상(적정 수준)에 도달했고, 41%는 10ng/㎖ 이하(결핍 수준)였다. 특히 비타민 D가 부족하면 신체활동 전반이 위축되고, 근감소와 더불어 노쇠 발병 위험도 1.5배가량 증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비타민 D는 지용성 비타민이므로 과량 복용 시 고칼슘혈증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적절한 복용량을 준수하는 것이 핵심이다. 일반적으로 성인 기준 하루 400∼800IU 정도가 권장되며, 노인의 경우 대사능력이 저하되어 필요량이 조금 더 높게 설정되기도 한다. 또한 햇볕을 충분히 쬐면 피부에서 자연적으로 합성되므로, 일주일에 몇 차례 하루 15∼20분간 햇볕을 쬐는 것도 비타민 D 합성에 도움이 된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유튜브 약초할배 
https://youtu.be/qJ3q0KenC74?si=WjSooNk61HGQoAp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