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 인공 재배법
천마(Gastrodia elata)는 난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일시적으로 줄기와 잎이 있으나 퇴 화되어 뿌리만이 발달되어 이를 약용으로 이용한다.
자연산은 한국, 일본, 중국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해발 700 m이상에서 많이 볼수 있다.
천마는 독립적으로 생육이 불가능하여 버섯의 일종인 뽕나무 버섯속(Amillaria속)과 상호간에 양, 수분 교환을 하는 공생관계가 있다
<천마 구근의 형태>
1. 약효 및 재배적 특성
가. 천마의 약효
☞ 천마는 옛부터 1등급 약재원료로 분류되어 한국, 중국등에 널리 알려져 있다.
☞ 사람의 머리 위에서 일어나는 각종 질병에 효과가 높다고 한다.
☞ 고혈압, 스트레스 해소, 머리 어지러운병, 불면증, 중풍, 당뇨병, 출혈증상 치료, 간기능 촉진.
☞ 최근 천마 술제조, 분말 및 드링크제, 엑기스 제조등 건강식품재료로 널리 활용된다.
나. 재배적 특성
1) 장 점
☞ 한번 접종하여 3-4년간 수확이 가능하고 이후 원목만 교체하면 계속재배 가능하다.
☞ 농토로서 쓸모가 적은 척박지나 모래밭등 유휴지 이용효과가 높고 연작이 가능하다.
2) 문제점
☞ 재배가 시작되는 첫해에 원목 및 종구 구입비등 생산 투자비가 높게 소요된다.
☞ 대량재배시 토양의 토성, 배수, 유기물함량, 경사방향등 적지선정에 애로점이 있다
2. 뽕나무 버섯균의 특성 및 증식
가. 뽕나무 버섯균의 특성
☞ 뽕나무 버섯균은 주름버섯목(Agaricales) 송이과(Tricholomataceae)이다.
☞ 뽕나무 버섯은 활엽수에서 기생하는 목재부후균으로서 세계 여러나라에 분포 되어 있으며 산림에 피 해를 주는 병원균으로도 알려져 있다..
☞ 뽕나무버섯균은 균사가 자라서 뿌리모양의 균사속(rhizomorph)을 형성하여 나무에 기생한다.
☞ 뽕나무 버섯균속에 포함되는 종류는 2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특성이 각각 다르다.
☞ 현재 농가 보급 종으로서 고시된 품종은 천마균 1호 가 각 종균배양소에 보급되어 있다.
<뽕나무 버섯균의 계통에 따른 균사속 형성정도>
나. 뽕나무 버섯균 증식 및 생장 환경
균사 배양시 최적 배지는 참나무 추출배지, 버섯완전배지(MCM) 또는 맥아 20g, 효모 (yeast ext.) 2g, 설탕 또는 포도당(dextrose) 20g, 한천 18g을 물 1ℓ에 넣어 만든다.
균사 생장 최적 배양 온도는 25∼28℃이며 15℃이하나 30℃이상에서는 생장이 현저히 감소 된다
톱밥배지의 수분함량은 65%가 적당하며 이보다 높아지면 공극량이 적어져산소공급이 저하되 균사생장이 제한된다.
뽕나무 버섯균의 적정 pH는 4.5이며 이보다 높아지면 균사생장이 억제된다.
3. 천마 재배 과정 및 적지선정
가. 천마재배 과정
나. 재배장소 선정
☞ 천마는 한번 심으면 한곳에서 재배해야 하므로 재배장소 선택이 중요하다
☞ 천마는 난과에 속하므로 과습이나 건조피해를 많이 받는다.
☞ 배수가 잘 되는 사양토가 좋으며 큰 모래, 자갈이 너무 많으면 비가오지 않을때 가뭄피해가 우려된다.
☞ 재배장소는 동남쪽 방향이 좋으며 약간 경사진 곳이 좋다
☞ 토양 산도(pH)는 5∼6이 적당하며 토양에는 공해물질이 없어야 한다.
☞ 재배장소의 흙은 완숙된 유기물 함량이 4∼5%가 습도유지 및 균사생장에 유리하다.
4. 천마 원목조제 및 종균접종 증식방법
가. 원목조제
원목 수종은 활엽수 모두 가능하지만 참나무류가 토양속에서 오래 견디므로 적당하다.
원목 굵기는 직경 10∼15㎝, 길이 30∼120㎝로 취급하기에 편리하도록 한다.
원목 건조는 38∼40% 수분상태로 나무의 작은 가지를 손으로 꺽으면 잘 부러질정도 또는 원목절단면에 가는 금이 가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나. 뽕나무 버섯균의 접종증식 방법
우량균주 선택이 가장 중요하므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개발 보급종인 천마균 1 호 를 선택하는 것이 안전하다.
종균 접착법으로서 원목 양쪽 절단면에 1∼2㎝ 두께로 절단된 종균을 접착한다.
구멍 접종 방법으로 천공기를 직경 12∼13㎜, 깊이 25㎜로 하여 15∼20㎝간격으로 뚫어 종 균 2∼3g씩 덩이로 채워 스치로플 마개로 막는다.
구멍 접종 및 종균접착법을 절충하는 방법으로 원목에 종균을 구멍접종한 후 절단면에 종균 이나 균이 활착된 골목을 20㎝길이로 절단하여 세워서 매몰한다.
5. 자마심기 및 수확
가. 자마심기
균사속이 3∼4㎝정도 자란후 균사속 바로위에 10∼30㎝간격으로 심는 방법과 원목에 뽕나 무 버섯균을 심은후 토양에 묻을때 자마도 함께 심는 방법이 있다.
나. 수확
천마는 봄(3∼4월)과 가을(11∼12월)에 수확 가능하다.
천마 건조수율은 20∼25%이나 봄에 지상경이 나온후 수확하면 건조수율이 떨어지므로 3월 경에 수확한다.
천마 수확시기는 꽃대가 출현했을때를 최대성장기로 보아 수확적기로 보면되나 서두르지말 고 2∼3년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수확한다.
수확량은 평당 5㎝길이의 자구를 심었을 때 15Kg정도이다.
<천마와 뽕나무버섯균 간의 공생관계> 버섯 생산자협회 자료실에서 스크랩